뇌혈관질환은 사람에게 사회활동의 막을 내리는 무서운 병이고, 심한 경우 다른 사람에게 평생 의지를 해야 합니다. 뇌혈관질환에 좋은 약초 방풍, 천마, 달맞이꽃 소나무의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1. 방풍 ( 갯기름나물, 수방풍, 식방풍, 중국방풍 )
2. 천마 ( 적전, 정풍초, 신초 )
3. 달맞이꽃 ( 월하향, 월견자, 대소초, 야래향, Oenothera biennis, 월견초(月見草) )
4. 소나무 (솔, 적송, 구룡목, 호피송, Pinus densiflora, 송절)
1. 방풍 ( 갯기름나물, 수방풍, 식방풍, 중국방풍 )
(1) 방풍의 효능
전통 의서에 의하면 방풍은 일체의 풍증(風)을 제거하는 묘약으로 기술되어 있고, 다른 이름으로 수방풍, 식방풍(갯기름나물), 중국방풍으로 부른다.
방풍나물은 바닷가 모래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 원방풍, 갯방풍, 식방풍의 3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식방풍은 발한, 해열, 진통의 효능이 있다. 방풍나물의 어린순은 식감이 좋고 향긋한 맛을 지녀 주로 나물로 먹고, 뿌리는 진통, 발열, 두통, 신경마비 등을 완화하는 약재로 사용하며, 춥고 열이 나타나는 전신 통증, 반신불수나 팔과 다리의 근육 경련 증상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풍에는 유기산과 다당류 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면역을 활성화시키고, 혈액 응고를 막아준다. 최근 약리 실험을 통해 혈액응고 저지, 항염증, 진경(경련을 가라앉힘),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한방요법
뿌리를 방풍(風)이라 부른다. 주로 외감으로 인한 풍한, 잦은 두통, 수근경직(목미가 굳어 뻣뻣해짐), 풍한습비, 골절통 등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3) 민간요법
봄에 잎을 채취하여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고 말려서 차로 마신다.
2. 천마 ( 적전, 정풍초, 신초 )
(1) 천마의 효능
천마가 하늘에서 떨어져 마목(木)을 치료하였다 하여 하늘 천(天)과 마목(木)의 마를 합해 천마(天麻)라고 한다. 또 뿌리가 남성의 생식기와 닮았다 하여 수자해, 정력에 좋다 하여 산뱀장어, 다른 이름으로 적전, 정풍초, 신초로 부른다.
천마는 식용과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천마를 약초로 만들 때는 뿌리를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채취하여 사용한다. 천마에는 점액질, 미네랄, 비타민 A 등이 풍부하고 끈적끈적한 성분은 '뮤친(mucin)'이라는 당 단백질이다.
천마는 <동의보감>에서 천마는 “말초혈관까지 순환을 시켜주는 신효한 약으로 혈관병에 좋다"고 했고, 맛이 달고 약간 따스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기혈(氣血)을 소통시켜 통증을 그치게 하고 마비를 풀어준다. 최근 약리 실험에서 진정작용, 진통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주로 두통, 어지러움, 류머티즘, 요통, 반신불수, 뇌 관련 질환, 불면증, 고혈압, 뇌출혈, 옹종, 뇌졸중, 언어장애에 좋다고 한다.
천마를 맨손으로 오랫동안 손질하거나겉껍질을 벗기면 옥살산칼슘 성분 때문에 피부에 가려움과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는 식초를 한 숟갈을 물에 타서 헹구면 사라진다.
(2) 한방요법
뿌리줄기인 천마(天麻)는 뇌졸중에 다른 약재와처방한다.
(3) 민간요법
뿌리를 강판에 갈아 생즙으로 먹거나 우유에 타서 먹는다.
3. 달맞이꽃 ( 월하향, 월견자, 대소초, 야래향, Oenothera biennis, 월견초(月見草) )
(1) 달맞이꽃 효능
달맞이꽃은 화려하고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고, 정유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달과 교감하며 밤에 꽃을 피웠다가 아침에 햇살이 비치면 곧 오므라들어 '월견초(月見草)'라 부르지만 실제로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낮에 노란 꽃을 피우며, 다른 이름으로 월하향, 월견자, 야래향으로 부른다.
달맞이꽃으로 약초를 만들 때는 여름에는 꽃과 잎을 가을에는 뿌리와 종자는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꽃, 전초, 줄기, 뿌리, 종자 모두를 약용으로 쓴다. 특히 종자에는 정유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식용,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민간 의약에서 “달맞이꽃 종자는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질성분의 과다한 축적작용을 억제시켜주기 때문에 고지혈증에 좋다”라고 알려져 있다. 가을에 달맞이꽃 꼬투리가 터지기 전에 줄기째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털어 기름을 짜는데, 당뇨병이나 고혈압에 좋다.
최근 약리 실험에서 소염작용과 해열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종자는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질 성분의 과다한 축적작용을 억제시키므로 동맥경화, 고지혈증에 좋다. 꽃은 감기로 인한 고혈로 인해 인후염에 좋고, 뿌리 대소초는 해열에 효능이 있고, 기관지염, 피부염에 좋다.
(2) 한방요법
종자를 기름을 짠 것을 '월견초유(月見草油)'라 부른다. 심장질환, 동맥경화, 고혈압, 인후염, 해열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3) 민간요법
잎은 몹시 써서 생으로 바로 먹을 수 없고, 끓은 물에 살짝 데쳐서 찬물에 우려내어 먹을 수 있다. 꽃은 따서 말려서 차로 술에 담가 밀봉하여 3개월 후에 먹는다. 달맞이꽃 기름으로 여성의 갱년기를 다스리는 데 썼다.
4. 소나무 (솔, 적송, 구룡목, 호피송, Pinus densiflora, 송절)
(1) 소나무 효능
소나무 이름은 다양하다. 소나무는 줄기에서 붉은 빛이 나는 적송(赤松), 육지에서 자라는 육송(松), 줄기에서 검은빛이 나는 흑송(松), 바닷가에서 잘 자라는 해송(海松) 등으로 부른다.
소나무는 꽃가루, 솔잎, 솔방울, 속껍질을 먹을 수 있다. 먹을 것이 귀할 때는 소나무의 바깥쪽 껍질을 벗겨내고 흰 색깔의 안 껍질을 벗겨서 말려 찧어 가루로 만들어 송피떡으로 먹었다. 꽃가루는 다식(茶食)용, 송홧가루를 꿀이나 조청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찍은 송화다식으로 먹었다.
소나무는 정원수, 풍치수, 식용,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소나무를 약초로 쓸 때는 꽃가루는 이른 3~4월, 줄기에서 나오는 수지(樹脂)는 수시로, 송엽(松葉)은 새순이 나올 때 채취하여 쓴다.
최근에 소나무 나무껍질에서 혈전용해제를 추출하고, 소나무에서 나오는 피톤치드는 발암 물질,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분해 및 제거하여 심신, 면역기능 향상, 살균작용, 항균작용 등에 도움을 준다.
(2) 한방요법
송지(松脂)는 악창, 송엽(松葉)은 류머티즘, 송화분은 지혈, 심신불안을 치료하는 데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3) 민간요법
송편에 솔잎을 넣어 만들고, 탕(湯)에 솔잎을 넣고 목욕을 하였고, 신경통에 솔잎을 물에 삶아서 찜질을 했고, 솔씨로 성욕을 자극하는 데 썼고, 송진은 고약의 원료로 썼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뇌혈관질환으로 제명을 누리지 못하며, 설령 살아있다 해도 정상적인 활동은 못하고, 재활운동을 해도 정상으로 회복은 힘들고, 장애 수준으로 남에게 신세를 지는 몸이 됩니다. 뇌혈관질환에 좋은 약초 방풍, 천마, 달맞이꽃 소나무의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을 참고해 건강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예방에 좋은 약초 개똥쑥, 꾸지뽕나무, 끌풀, 겨우살이, 와송, 부처손, 주목의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 (0) | 2022.12.25 |
---|---|
뇌건강에 좋은 약초 강황 키위 블루베리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 (0) | 2022.12.25 |
눈에 좋은 차 결명자차 효능 & 부작용Cassia Tora (0) | 2022.12.25 |
2023 문경찻사발축제 일정 & 기간 & 오시는길 (0) | 2022.12.24 |
2023 문경오미자축제 일정 & 오시는길 ( 오미자청, 오미자 엑기스 ) (0) | 2022.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