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사람의 몸에도 암세포가 있지만 암으로 발병하지는 않습니다. 비정상적인 암세포들이 암으로 발병되지 않도록 제거하는 암예방에 좋은 약초 개똥쑥, 꾸지뽕나무, 꿀풀, 겨우살이, 와송, 부처손, 주목의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CONTENTS
1. 개똥쑥 (진잎쑥, 개땅꾹, 인진호, Artemisia annua)
2. 꾸지뽕나무 (돌뽕나무, 뽕나무, 가시뽕나무, 상자, Cudrania tricuspidata, 자목)
3. 꿀풀 (동풍, 철색초, 맥하초, 근골초, Prunella vulgaris var. liacina, 하고초)
4. 겨우살이 (동청, 황금가지, 기생초, 상기생, Viscum album var. coloratum,
5. 와송 (와연화, 지붕지기, 바위솔, 와상, Orostachys japonica)
6. 부처손 (장생불사초, 불로초, 불사초, Selaginella tamariscina, 권백)
7. 주목 (붉은색 나무, Thuja orientalis, 자심)
1. 개똥쑥 (진잎쑥, 개땅꾹, 인진호, Artemisia annua)
(1) 쑥의 효능
쑥은 생명력이 강하다. 개똥쑥은 인진쑥이나 사철쑥, 황해쑥처럼 키가 1m 정도 되고 특이한 향이 난다. 우리 조상은 개똥쑥을 손으로 뜯어서 비벼보면 마치 개똥 같은 냄새가 난다 하여 개똥쑥이라고 불렀다.
중국 중의학에서는 개똥쑥을 2000년 이상 응용하고 있고,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샐러드 형태로 섭취하고 있다. 현재 개똥쑥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테미시닌(artemisinin) 제조에 사용하고 있다. 최근개똥쑥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8년 미국 워싱턴대학 연구팀이 <암저널>에서 "개똥쑥이 기존의 암환자에게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항암효과는 1,000배 이상 높은 항암제로 기대된다"라고 발표하면서부터이다.
개똥쑥은 학질(雍疾)을 치료하고 열을 식히며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탁월하다. 최근약리 실험에서 항암작용, 살충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한국생태학회지>에서 곰팡이의 생장률 억제가 입증되어 항균효과가 있고,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서 개똥쑥 잎과 줄기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상피암이나 위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개똥쑥은 항암효과는 물론 당뇨나 고혈압 등 성인병에까지 소문이 있다는 소문이 퍼져나가면서 무차별하게 채취를 당하고 있다.
개똥쑥을 약초로 쓸 때는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말려서 쓰면 되지만, 식용이나 효소로 만들 때는 키가 30cm 미만일 때 채취하여 쓴다.
(2) 한방요법
전초를 황화호(黃花蒿)로 부른다. 암이나 학질, 부스럼, 옴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한꺼번에 많이 먹거나 효소를 진하게 먹으면 안 된다.
(3) 민간요법
봄에 어린잎을 따서 된장에 넣어 먹거나 쑥처럼 갈아서 떡으로 먹거나 그늘에 말려서 차로 먹는다.
2. 꾸지뽕나무 (돌뽕나무, 뽕나무, 가시뽕나무, 상자, Cudrania tricuspidata, 자목)
최근 임상 실험을 통해 꾸지뽕나무에서 추출한 목초액과 뿌리 속껍질 40g을 식초에 1시간 동안 담갔다가 식도암과 위암환자가 상복 후 빠르게 회복되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동물 실험에서 뿌리와 껍질은 복수암 억제율이 51.8%, 체외 실험에서는 암세포에 대한 억제율이 70~90%로 밝혀졌다. 이처럼 최근 TV나 종편 등에서 꾸지뽕나무가 각종 암에 효능이 있다고 하여 재배용 외에는 멸종 위기를 맞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버릴 게 없을 정도로 식용과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약리 실험에서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혈당 강하작용, 혈압 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잎, 열매, 가지, 뿌리 모두를 쓰고, 와인, 효소, 환, 차(茶), 반찬 등을 만들어 시판하고 있다.
봄에 부드러운 잎을 따서 깻잎처럼 양념에 재어 장아찌로 먹을 수 있고, 잎을 그늘에 말려서 차관이나 주전자에 넣고 끓여 꿀을 타서 차(茶)로 마실 수 있고, 가을에 성숙된 열매를 생으로 먹거나 술을 담가 먹었다.
꾸지뽕나무 잎이나 열매로 효소를 만들 때는 봄에는 잎을 가을에는 성숙된 열매를 따서 항아리나 용기에 넣고 설탕이나 시럽을 붓는다. 그리고 100일 정도 발효를 시킨 후에 효소 1에 찬물 5의 비율로 희석해서 마신다.
(2) 한방요법
꾸지뽕나무의 목질부를 자목(木), 줄기와 뿌리껍질을 자목백피(白皮), 줄기와 잎을 자수경엽(樹莖葉)으로 부른다. 암, 고혈압, 당뇨병에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한다.
(3) 민간요법
봄에 부드러운 잎을 따서 깻잎처럼 양념에 재어 장아찌, 성숙한 열매를 따서 과육으로 먹었다. 불면증과 이명(耳鳴)에는 꾸지뽕나무의 뿌리로 술을 담가 먹었다. 고혈압이 나 당뇨에는 차로 먹었다.
3. 꿀풀 (동풍, 철색초, 맥하초, 근골초, Prunella vulgaris var. liacina, 하고초)
(1) 꿀풀 효능
꿀풀이 만발할 때는 벌들의 축제의 장이 된다. 꽃이 피었을 때 꽃술을 빨면 꿀처럼 달다. 다른 꽃에 비해 꽃에 꿀이 많이 들어 있어 '꿀풀'이라고 부른다. 꿀풀은 방망이처럼 생긴 꽃차례에 꽃이 빽빽이 달려 있어'꿀방망이', 꽃이 입술 모양을 닮았다 하여 '순형화관(脣形花冠)'이라고도 부른다.
꿀풀은 식용, 약용, 관상용, 밀원용으로 가치가 높다. 본초학(本草學)에서 쓴맛이 나는 꿀풀은 '나력(瀝), 산결(散結), 습비(濕)'에 쓰고, 약리 실험에서 항암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이뇨작용이 있다. 달인 물은 복수암, 혈관을 확장시켜 주고, 종기나 염증 반응에 현저한 억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약초로 만들 때는 봄~여름에 꽃과 잎을 뿌리는 수시로 채취하여 말려서 쓴다. 꿀풀의 꽃이삭은 여름에 시들어버려 검게 변할 때 채취하여 약초로 쓴다.
봄에 꽃을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차관이나 주전자에 넣고 끓여 차(茶)로 마셨고, 봄~여름까지 잎, 줄기, 꽃봉오리를 따서 용기에 넣고 술을 붓고 밀봉하여 3개월 후에 먹는다.
(2) 한방요법
잎을 하고초枯草)로 부른다. 갑상선이나 나력(疵), 암, 고혈압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꽃이 핀 후 여름에 시들어버려 검게 변할 때채취하여 쓴다.
(3) 민간요법
봄에 꽃을 따서 생으로 먹거나 그늘에 말려서 차로 먹거나, 봄에 꽃이 피기 전어린잎을 따서 물로 씻고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4. 겨우살이 (동청, 황금가지, 기생초, 상기생, Viscum album var. coloratum, 곡기생)
(1) 겨우살이 효능
겨우살이는 땅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다른 식물에 붙어서 사는 기생나무다. 참나무에 사는 겨우살이를 곡기생(寄生), 뽕나무에 사는 상기생(桑寄生)이라 부르고, 그 외에 배나무, 자작나무, 팽나무, 밤나무 등에도 자생한다.
우리 조상은 겨우살이가 한 겨울에도 푸름을 간직하기 때문에 '동청(靑)', 황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황금가지'라는 애칭이 있다. 공중에서 나무에 의지하고 푸름을 잃지 않고 겨울을 겨우겨우 살아간다 하여 겨우살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겨우살이는 독성이 없어 식용보다는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다른 약초와는 달리 겨우살이를 약초로 쓸 때는 황금색이 될 때까지 햇볕에 말려서 쓴다. 겨우살이를 먹을 때는 물만을 끓여서 다른 용기에 부어 80℃의 물에 우려내어 꿀을 타서 차(茶)처럼 마신다.
1926년부터 유럽에서는 겨우살이에서 암 치료물질을 추출하여 임상에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동물 실험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을 흰쥐에게 투여하자 암세포가 70% 이상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약리 실험에서 항암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혈압 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신장과 간장에 좋아 동맥경화 예방 및 각종 통증과 진정에 효능이 있으며, 주로 간염, 고혈압, 기관지염, 요통, 관절염, 근육통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한방요법
잎, 꽃, 열매, 줄기, 가지를 약재로 쓸 때 기생하는 나무, 채취시기, 건조방법에 따라 약효가 다르기 때문에 환자에 따라 다르게 처방한다. 주로 암이나 고혈압, 동맥경화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3) 민간요법
겨우살이를 갈아 찹쌀로 배합해서 환으로 먹거나 고약을 만들어 썼다.
5. 와송 (와연화, 지붕지기, 바위솔, 와상, Orostachys japonica)
(1) 와송 효능
최근 약리 실험에서 지혈작용, 해열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암, 청열해독(淸熱解毒), 이습(利濕), 통경(通經), 간염, 폐렴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민간에서 음용된다.
와송을 약초로 쓸 때는 가을에 채취하여 생으로 쓰거나 그늘에 말려서 쓴다. 효소를 만들 때는 가을에 꽃, 잎, 꽃받침 전체를 채취하여 물로 씻고 물기를 뺀 적당한 크기로 잘라 항아리나 용기에 넣는다. 그리고 설탕이나 시럽을 붓고 100일 정도 발효시킨 후 효소 1에 찬물 5의 비율로 희석해서 마신다.
(2) 한방요법
와송(松)으로 부른다. 각종 암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약성이 강하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이 먹지 않는다.
(3) 민간요법
항암에 널리 쓰인다. 와송을 차관이나 주전자에 넣고 끓여 꿀을 타서 차로 먹는다. 삶은 물로 치질과 습진 부위를 씻고, 짓찧어 종기, 악창, 화상 등의 환부에 붙였다.
6. 부처손 (장생불사초, 불로초, 불사초, Selaginella tamariscina, 권백)
(1) 부처손 효능
부처손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바위나 암벽에 붙어 자생한다. 중국의 전통의학에서 "천금(金)과도 바꿀 수 없는 영혼을 살리는 신비의 약초다”라고 할 정도로 신비한 효능을 간직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부처손은 비나 눈이 올 때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잎을 펼치고 있다가 햇볕이 쨍쨍할 때는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잎을 안쪽으로 공처럼 오므리고 있을 때 주먹을 쥐고 있는 모습과 같고, 측백 잎과 흡사하여 권백, 신선이 먹었다 하여 장생불사초, 불로초, 불사초 등으로 부른다.
<동의보감>에서 "부처손은 신장을 이롭게 하고, 달여서 즙을 상복하면 하혈, 통경에 효과가 있다”라고 했다. 최근 중국에서는 부처손으로 추출한 액체를 만들어 암 환자에게 임상으로 쓰고 있다.
최근 약리 실험에서 항암작용, 항염작용, 해열작용, 해독작용, 지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염, 편도선염, 혈액순환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처손은 독성이 전혀 없어 식용보다는 약초로 가치가 높다. 부처손을 약초로 쓸 때는 계절에 구애 없이 채취하여 물에 씻고 물기를 뺀 다음 말려서 가루를 내어 환으로 먹거나, 술에 담가 밀봉하여 3개월 후에 먹을 수 있다.
(2) 한방요법
가을에 뿌리째 채취하여 씻어서 말린 것을 연주권백(兗州卷柏)으로 부른다. 각종 암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부처손은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이나, 임산부는 먹지 않는다.
(3) 민간요법
부처손을 달인 물로 여성이 음부가 가려울 때 씻었고, 몸속의 종양과 응어리나 어혈을 제거하는 데 쓰고, 외상에는 생것을 짓찧어 붙였다.
7. 주목 (붉은색 나무, Thuja orientalis, 자심)
(1) 주목의 효능
주목이 오늘날에는 암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나무였지만, 예전에 일부 종교에서는 '몰약'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성경에 등장하는 갈릴리아 사람들은 화살촉에 바르는 독(毒)을 주목에서 추출해서 쓰기도 했다.
미국 국립암연구센터에서 1971년 태평양산 주목 껍질에서 항암효과가 있는 '파크리탁셀'이란 물질을 발견했고, 21년 뒤 미국의 브리스톨 마이너스 스퀴브(BMS)는 미국식품의약국에서 이 성분을 항암제인 '탁솔(taxol)'로 시판 승인을 받아 지금은 연간 1조 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주목을 약초로 쓸 때는 봄부터 가을까지 잎과 가지를 채취하여 말려서 쓴다. 중국에서는 잎이나 가지를 '자삼(紫衫)'으로 부르고, 이뇨, 통경, 당뇨병에 쓴다. 그러나 잎과 씨앗에는 알칼로이드 계통의 탁신(taxin)이라는 유독 성분이 있어 혈압 강하 또는 심장을 정지시키는 부작용을 일으킨다.
(2) 한방요법
잎과 가지를 자심으로 부른다. 암이나 고혈압, 신장병, 당뇨병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주목에서 추출되는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은 의사의 처방으로 먹을 수 있지만, 함부로 상복하면 중독성의 위험이 있고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3) 민간요법
잎을 말려 구충약 대용으로 쓰고 종자를 따서 기름을 짜거나, 물감을 들이는 염료로 쓴다.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는 암입니다. 4명 중 한 명은 암으로 사망합니다. 하지만 모든 암이 곧 '사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암은 예방이 가능하고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습니다. 암은 대책이 있는 질환입니다. 암예방에 좋은 약초 개똥쑥, 꾸지뽕나무, 꿀풀, 겨우살이, 와송, 부처손, 주목의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을 참고해 건강에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력에 좋은 음식 약초 삼지구엽초 구기자 복분자 산수유 야관문의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 (0) | 2022.12.25 |
---|---|
고혈압에 좋은 약초 연꽃, 차나무, 은행나무, 뽕나무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 (1) | 2022.12.25 |
뇌건강에 좋은 약초 강황 키위 블루베리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 (0) | 2022.12.25 |
뇌혈관질환에 좋은 약초 방풍 천마 달맞이꽃 소나무 효능 및 한방요법 민간요법 (0) | 2022.12.25 |
눈에 좋은 차 결명자차 효능 & 부작용Cassia Tora (0)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