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양소정리52 엽산 Folic Acid 엽산 Folic Acid PGA(Pteroyl glutamic acid)의 약자로도 불리는 엽산은 또 비타민 M, 비타민 B라고도 하는 비타민 B군의 일종으로서 빈혈에 효과가 있다. 미국에서는 신생아의 척추가 불안전하게 닫히는 현상의 두분증, 뇌가 불안전하게 발달되는 무뇌증(無)의 원인이 바로 엽산 결핍에 기인된다고 믿고 있다. 영국학자들의 발표에 따르면 이미 기형아 출산한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다음번 임신기간 중 충분한 엽산을 공급한 결과 기형아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했다. 또한 미국 하버드 의대의 죠바누치 박사는 결장암 위험이 75% 줄어드는 것으로 밝히고 있고, 엽산과 자궁경부암 예방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알바마 의과대학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적이 있는 .. 2023. 3. 4. 엽록소 Chlorophy 엽록소 Chlorophy 엽록소(클로로필: Chlorophyll)는 식물의 녹색을 대표하는 색소로 광합성을 하는 생물에 있는 녹색색소이다. 햇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은 초록색이 되지 않고 황색이나 흰색 상태가 되는데 이것은 빛이 없어서 엽록소가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엽록소는 녹색식물의 광합성에 있어서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데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등 녹색식물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것이다. 엽록소는 증혈작용을 하며, 자양강장, 정장작용의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식품가공에서는 껌이나 과자제조용으로 사용하며, 안정한 형태인 엽록소 유도체는 화장품, 식품착색제 및 탈취흡수제 등으로 널리 쓰인다. 지용성으로 일종의 포르피린(Porphyrin) 화합물이며 포르피린 핵의.. 2023. 3. 4. 알긴산 Alginic Acid 알긴산 Alginic Acid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갈조류의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 복합다당류인 알긴산은 체내에 들어가 생리활성 기능이 다양하고 그 효과가 우수한 물질이다. 알긴산은 건조된 것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미역에 25%, 다시마에 17∼29%, 대황에 15~30%, 녹미체에 15~21% 함유돼 있어 갈조류의 식품에는 많이 존재하고 있다. 러시아 태평양해양연구소의 포드코리토바 박사는 체르노빌 원전사고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알긴산을 치료제로서 사용한 결과 반감기가 긴 방사선 핵종의인체 내 침투 억제나 배출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는데 이와 같이 알긴산은 체내의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을 체외로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본에서는 위점막질환자를 대상으로 알긴산을 복용시켜 임상실험한 결과 95.. 2023. 3. 3. 아스파라긴산 Asparagine Acid 아스파라긴산 Asparagine Acid a - 아미노산의 하나로 아스파르트산이라고도 한다. 유리된 상태로는 보통 L아스파라긴산으로서 동물식물에 있는데 특히 사탕수수와 사탕무의 당밀에 많으며 독특한 수산 기호 식품인 개불에도 많이 들어있다. 분자량 133.10, 분해점 271℃의 무색의 사방판상 결정으로 물과 알코올에 잘 녹지 않으나 산과 알칼리에는 녹는다. L-아스파라긴산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서도 존재하는데 D-아스파라긴산은 항생물질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고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다. 인간에게는 비필수아미노산이다. 체내에서는 TCA회로와 오르니틴 회로산이며 양쪽을 연결하는 대사상 중요한 아미노산이다. 즉, TCA회로에는 아미노기 전이반응에 의하여 옥살아세트산 또.. 2023. 3. 3. 아미노산 Amino Acid 아미노산 Amino Acid 한 분자 안에 아미노기(Amino Radical)와 카르복시기(Carboxyl Radical)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 단백질을 가수분해할 때 최종적으로 생성하는 화합물이다. 모든 생명현상을 관장하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로서 아미노기가 차례로 이웃하는 탄소원자로 옮겨감에 따라 B-아미노산(B-amino acid), y-아미노산(y-amino acid), a-아미노산(a-amino acid) 등으로 부른다. 단백질에서 분리된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 같은 탄소원자에 결합하여 a-아미노산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하면 a-아미노산을 말하며 20여 종이 있다. 음식물로 단백질을 섭취하면 펩신, 트립신 등의 소화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흡수되.. 2023. 3. 2. 이전 1 2 3 4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