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양소정리52

비타민C 아스코르빈산이란? Ascorbic Acid 비타민C 아스코르빈산이란? Ascorbic Acid 비타민 C인 아스코르빈산은 오래전부터 비타민 중의 비타민으로 알려져 왔으며 체내 기능활성에 관여하는 특수 영양소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여기에 더하여 최근 성인병의 증가는 비타민 C의 상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유행성감기의 예방과 치료에도 유용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산화방지제로서의 효력은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가치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비타민 C는 체내에서 합성은 되지 않고 신선한 과일이나 야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푸른 고추, 시금치, 파슬리, 감귤에 많으며 백색 또는 연한황색을 띤 결정성으로 냄새는 없고 신맛을 낸다. 천연상태나 건조상태에서는 비교적 안정하나 파쇄, 절단, 가열 등에 의해 빨리 산화·분해되므로 섭취에 있.. 2023. 2. 25.
비타민 B12 Cyanocobalamine 비타민 B12 Cyanocobalamine 비타민 B군의 일종으로 1948년 악성빈혈의 예방인자로서 발견되었으며 코발트를 포함한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는 적색의 비타민으로서 동물성단백질인자라고도 하였다. 식품류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B는 다른 화합물들과 서로 결합되어 있는데 조리과정이나 위 속에 들어가 위액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을 받아 유리되며 유리된 비타민 B12는 위액의 뮤코다당 단백질인 내재인자(Intrinsic factor)와 결합한 후 흡수하게 되는데 보통 56~72% 정도 흡수율을 나타낸다. 흡수된 비타민 B12는 운반단백질인 트랜스코발라민(Transcobalamin)과 결합하여 체내 각 조직으로 운반되어 영양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여느 수용성 비타민과는 달리 비타민 B12는 간에 상당히.. 2023. 2. 24.
미네랄 요오드란? lodine: I 미네랄 요오드란? lodine: I 인체 내에는 15~20mg의 요오드가 있다고 하며 그중 70~80%는 갑상선에 존재한다. 요오드는 체내 대사율을 조절하는 갑상선 호르몬의 구성성분이 되는 필수적인 무기질로 흡수율은 매우 높아서 거의 모든 양이 신속하게 흡수되며 주로 요로 배설되며 소량이 땀과 수유를 통해서 배설된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 TSH)은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열 생산을 하고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의 신체적, 정서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데 인체에 요오드가 부족하면 갑산선종(Goiter)에 걸리게 된다. 갑상선종은 옛날 사람들에게 풍토적 질병으로 인식되어 왔는데 토양에 요오드의 함량이 낮거나 바다와 멀리 떨어진 산간지방인.. 2023. 2. 24.
비타민 B2 리보플라빈이란? 비타민 B2 리보플라빈이란? 리보플라빈이라고 하는 비타민 B2는 락토플라빈(Lactoflavin), 오보플라빈(Ovoflavin), 비타민 G라고도 불리는 우리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수용성 비타민이다. 해당작용, 지방산의 산화과정과 아미노산의 탈아미노 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소를 전자 전달계로 전달해 줌으로써 열량원으로부터의 에너지 방출과 ATP생성에 관여하고 체내에서 산화환원에 관여하는 효소의 구성성분이며 발육촉진, 식욕증진, 구순구각염, 위장장애, 광선공포증, 백내장, 빈혈 등을 유발한다. 또한 리보플라빈은 흡수한 가시광선의 빛에너지를 다른 물질에 전달하여 광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식품의 향기변화 및 색깔변화에 관여한다. 열에 비교적 안정하며 산에 강하고 알칼리에서는 분해가 되기 쉬운 비타민으로 간, .. 2023. 2. 23.
비타민 B1 티아민이란? Thiamine 비타민 B1 티아민이란? Thiamine 티아민으로 불리는 비타민 B1은 수용성비타민 중 최초로 발견되었다. 사람에게 이 물질이 부족하면 각기병에 걸리고 수족에 부종이 생기고 권태감과 쉬 피로하기 쉬우며 식욕부진이 오는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비타민이다. 티아민 자체나 식품 속에 들어 있는 티아민은 높은 열에 불안정하고 중성이나 알칼리에서 가열하면 쉽게 상당량이 파괴되고 분해된다. 티아민은 체내에 들어가서 당질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장으로부터의 흡수는 용이하지만 하루 5mg 이상을 섭취한다 하여도 체내에서 이용되지 않고 체외로 배설된다. 티아민을 섭취하지 않을 때는 각 조직의 티아민 양은 빠르게 감소되므로 매일 섭취하여야 한다. 티아민은 곡류, 두류, 육류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 2023. 2. 23.
반응형